"울진 두달 만에 또 대형산불" 아픔이 반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예방이 절실 > 새로운소식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뒤로가기 새로운소식

"울진 두달 만에 또 대형산불" 아픔이 반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예방이 절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웹관리자 작성일 22-05-30 10:03 조회 3,336 댓글 0

본문

08aeff1509280dd635bcb1e338075277_1653871321_1501.png

경북 울진 행곡리 야산에 2022년 5월 29일 또다시 대형 산불이 발생했다.
지난 3월 역대 최장기간(213시간) 산불이 2만여ha의 임야를 집어삼킨지 불과 두 달여 만이다.
산불은 다행히 하루만에 진화됐다.
하지만 한밤 대피소동에 잇단 산불의 습격으로 주민들은 트라우마에 시달리고 있다.
  
08aeff1509280dd635bcb1e338075277_1653871732_0312.png

 이번 산불은 축구장 203개의 면적에 달하며 산림 145ha 가 불탔다.

더욱 안타까운건 보광사 대웅전과 자동차정비소, 컨테이너 등 6곳 9개동의 시설이 전소됐다.

또한 천연기념물 제96호인 수산리 굴참나무(수령300년)와

제 409호인 행복리 처진소나무(350년)도 화마에 의해 피해를 입은 상태이다.


08aeff1509280dd635bcb1e338075277_1653871812_7408.png
 

이전 화재에서도 정확한 발화지점 및 발화원인에 대해 오리무중인데, 이번 화재 역시 발화지점도

예상치 못한 곳이어서 당국의 산불 감시망을 벗어났다. 공사장 불꽃처럼 엉뚱한 곳에서

강풍을 타고 불씨가 커져가는 경우 초기대응에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08aeff1509280dd635bcb1e338075277_1653871965_483.png
 

더욱이 안타까운건 올 초 대형화재로 잿더미가 된 울진이 이제 겨우 일어서려 하는 시점에

다시 불이 나 해당 주민들의 아픔이 트라우마로 남을 것이 예상된다.


정녕 산불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사전조치가 전혀 없는 것이며, 

화재 발생 인지를 앞당겨 초기대응 골든타임을 더 빨리 확보하여

그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이 절실해 보인다.


이에 적용가능한 기술로 디티하이 FDS 화재예방 온도 모니터링(outdoor)

시스템을 소개한다. 외부에 설치가 가능하며,

온도정밀도가 높으며, 데이터 유실율이 거의 없는

화재예방 및 초기대응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술에 대해 알아보기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이미지 목록

전체 76건 6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soamkim.com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주)소암컨설턴트 / 대표 : 김중열
주소 : 대전광역시 테크노5로 43-15
전화 : 042-863-2830 팩스 : 042-863-2834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웹관리자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