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무인 감시카메라' 작동했지만...사실상 무용지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웹관리자 작성일 24-03-13 14:44 조회 1,356 댓글 0본문
산불예방을 위해 지자체마다 적지않은 예산을 들여 산불 취약지역에 무인카메라를 설치하고 있습니다
최근 불이 난 대전과 충남지역 산에도 곳곳에 무인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었지만
"사실상 무용지물이었습니다"
사흘동안 전국을 긴장시켰던 얼마전 홍성 산불!
초기진화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두 시간만에 '산불3단계'가 발령
인력 3천여명과 장비 380대가 투입돼 53시간만에 겨우 진화 되었습니다.
[주민 인터뷰]
"여기가 불바다가 되는거예요. 삽시간에 그렇게 되더라구요! 불이.
세상에 이런 불은....."
불이 난 산에는 산불 예방을 위한 무인 감시카메라가 있었지만
초기대응에는 별 도움이 안됐습니다.
작은 불씨나 열기를 감지해도 경광등이나 경보음으로 연결되지 않아
모니터를 통해 확인하지 않는 이상 대응이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충청남도 관계자 인터뷰]
"경보음 기능은 따로 없고, 그냥 감시카메라로 저희가 확인하고 그런 방식이에요"
대전과 충남에 설치된 무인 감시카메라만 120여 대에 달하지만 설치한 지
10년이 넘어 화질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산림 전체를 비출 수도 없는
노릇이어서 산불대응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대전시 관계자 인터뷰]
"안 보이는데가 있어요. 또는 보인다 하더라도 자세히 안보여서, 카메라
성능에 한계가 있으니까"
산림청이 인공지능을 활용한 산불 감시장비 보강을 준비하고 있지만
즉각적인 교체는 어려운 상황,
더욱 빈번해 지는 대형 산불을 막기 위해 초기 대응 시스템에 보강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조 정 아 기사 인용
----------------------------------------------------------------------------------------------------------------------------
위 내용을 정리하면,
산불화재 예방 기술로 감시카메라만으로는 한계가 명확하다는 것이다.
그 이유로는
1 : 안보이는데가 있어요! (카메라 사각지대)
2 : 보인다 하더라도 자세히 안보여 (카메라 성능문제)
3 : 그냥 감시카메라로 저희가 확인해요 (지속적인 유지관리 비용 및 예보 발생시점 지연문제)
4 : 경광등이나, 경고음으로 연결안됨 (상황전파 지연으로 대형산불 유발)
정도로 정리해 볼 수 있습니다.
이렇듯 인공지능 기술이 도입되어 화재판단 유무를 인식하고
이미지분석기술 및 딥러닝 기법이 도입된다 한들
광학카메라, 열화상카메라, 열감지카메라 등으로 이름만 다를 뿐
원천적인 하드웨어적 한계로 인해
인공지능 판단오류의 화재발생 오보율 문제,
잦은 소방대 출동으로 인한 불필요한 인력 및 자원소모,
영상처리를 위한 별도의 고비용 서버 또는 고성능 클라우드 시스템,
영상분석 및 저장 빈도에 따른 고용량 저장장치,
상시 모니터링 인력배치 상황실 운영에 따른 지자체 예산 부담 등이
발생할 여지가 충분합니다.
이에, 간편하고 상대적으로 저비용으로 보다 넓은 지역을 감시하며
사각지대도 없고, 화재발생지점에 근거한 지표에 직접 다수의 온도센서를
설치하면, 카메라의 한계를 극복한 산불예방 감시 체계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본 디티하이 FDS 화재예방 기술은 이미 다수의 실적을 보유하고 있으며,
조달청 혁신제품으로 옥외 방진 방수를 지원하며,
현재 옥외 모니터링도 지속적으로 운영 중에 있으며, 오류율 0%
를 증명해 내고 있습니다.
서울시 관악구 현장으로 6~11번 구역은 옥외 계측 (2023년 11월~ 현재)
모바일 알림을 통한 현장 책임자 및 관련자 모두에게 상황발생 시
메세지가 동시 전달되며,
GIS 기반 센서 하나하나 정확한 위치가 어디이며,
이상상태 진행 상황은
어떠한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합니다.
당연히!!! 상황판단 및 전파가 빨라지고
대응이 빨라지면 대형으로 번지는 화재에 초기 대응할 수 있는
골든타임을 확보 할 수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기술은 하기 링크를 통해 확인 바랍니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