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에서 내려다 본 북한광산현황
페이지 정보
본문
위에서 내려다 본 북한 광산현황
- 금· 동을 중심으로 -
2019년 7월 3일 발행
총 쪽수 326
저자 박주권, 김중열
발행처 이화
머리말
우리나라 광물자원은 현실적으로 거의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따라서 철, 구리, 희토류 등의 가격변화는 바로 국내 산업 전반에 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북한에는 우리가 100% 수입하는 마그네사이트, 구리, 니켈 및 희토류 등은 함경남도 단천일대, 양강도 해산일대 및 정주일대에 고품위로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다고 합니다. 더구나 개발 잠재력이 높은 대규모 금광맥도 선천일대나 운산과 대유동을 잇는 일대에 분포되고 있다고 합니다. 나아가 북한 광물매장량의 잠재가치는 외국 전문매체에 따르면 약 7000조원에 달하고 아직 손도 대지 않은 광물도 약 8000조가 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북한 지하자원에 대한 자료는 대외비로 철저히 통제되고 있기 때문에 위의 전해지는 정보에 대한 신뢰성은 현실적으로 가늠하기 어려운 실정입니다.
최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한반도 광물자원개발 융합연구단(DMR 연구단)은 대한지질학회에서 발간(1998)한 한국의 지질을 참고하여 어느 지역에 어떤 광물이 매장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북한 지역 광물지도’를 정부 차원에서 완성하였습니다(제 1장 참조). 이를 바탕으로 광화대 분포나 해당 광물의 개발 가능성 및 경제가치를 간단히 요약하였습니다. 일례로 가행광산의 수는 약 700개로 남한의 2배가량 되나 근로자 수는 약 110만 명으로 남한 광산근로자 수의 약 150배 정도 되어 막대한 인력이 동원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는 것입니다.
통일부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는 2014 북한 주요광물자원을 발간하였으며 여기에는 12개 광종(금, 동, 아연, 철, 중석, 몰리브덴, 우라늄, 희토류, 흑연, 인회석, 마그네슘, 석탄)을 대상으로 118개 주요 광산에 대한 위치 및 현황을 요약하고 있습니다(제 2장 참조).
전문가들은 남북 간의 경제 구조로 볼 때 남의 자본과 기술, 북의 자원과 노동력이 결합하여 시너지효과를 볼 수 있는 분야가 바로 자원개발 분야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당장 북한 자원교류가 현실화된다 하더라도 위의 제한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자원개발에 바로 나설 수는 없는 것입니다. 투자 규모 및 시기 판단을 위한 보다 정확한 구체적인 자료가 필요합니다. 일테면 광산의 정확한 위치, 선광장과 광미장의 위치, 상태 및 규모(면적 및 광미댐 높이), 노천채광장의 배수 설비와 광석과 폐석의 운반 시스템, 갱내채광장의 유무, 폐석파일의 규모, 위치 및 상태, 광미장에 광해방지 시설의 유무와 상태, 광미재처리 현황, 광맥 연장상태, 광산 주위 인프라 등에 대한 정보가 뒷받침 되어야 할 것입니다. 이러한 정보는 구글어스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면 충분히 얻을 수 있습니다.
구글어스 위성영상판독은 평면부터 3D화면까지 가능하며 시간적으로는 최대 17년 이전부터 최근까지의 영상이 활용될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광산의 가동여부나 운영상태 등 상당부분이 파악될 수 있습니다. 특히 금광의 경우 지표부근에서 풍화잔류토양을 대상으로 채광하는 광산들이나 갱내채광의 경우 채광심도가 깊지 않은 상태에서 가동을 중단한 것으로 판단되는 곳들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곳에는 향후 심부탐광내지 심부채광의 필요성을 갖게 합니다.
이 책에는 단지 북한의 금·동 광산에 대한 영상분석결과를 요약하고 있습니다(제 4장 및 제 5장 참조). 전체적으로 눈앞에 보이는 광물잠재력
은 엄청나지만 정작 이를 개발하기 위한 전력이나 인프라는 지극히 열악한 상태라 광산 가동률이 크게 저조한 것으로 관찰되고 있습니다. 전하는 말로 북한의 금 부존량은 2000톤이나 되는 데 반하여 년 간 생산량은 불과 2톤이라는 것이 실감할 정도입니다. 대부분의 광미는 광해방지 개념 없이 처리되고 있으며 어느 곳은 광미가 재처리되기도 합니다. 광산 주위에 광산노동자의 숙소로 지어진 획일적인 사옥들이 즐비하고 있는 것이 매우 인상적입니다.
참고로 제 6장에는 광산개발과 평양 대동강의 수질오염과의 연관성을 예시하고 있습니다.
위의 모든 관찰 및 분석 자료결과는 장차 취득하게 될 북한광산자료와 대조되어 검증될 수 있고 나아가 곧 다가올 남북합작 광물자원개발을 위한 바람직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봅니다.
끝으로 그림 이미지의 전반적인 정리와 수정에 수고해 준 백상현 과장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합니다.
저자 일동
목 차
머 리 말
1 북한의 지질 및 광물자원
2 북한 광종별 광산분포 현황
2.1 북한 전역 광종별 광산분포
2.2 도별 전 광종 광산분포
3 도별 금·동 광산분포 현황
4 금 광산
4.1 황해남도 락연광산
4.2 황해남도 배천광산
4.3 황해북도 수안광산
4.4 황해북도 홀동광산
4.5 평안남도 성흥광산
4.6 평안북도 운산광산
4.7 평안북도 대유동광산
4.8 평안북도 선천광산
4.9 함경남도 차일광산
4.10 함경남도 상농광산연합기업소
4.11 북한 금 광산 현황 요약
5 동 광산
5.1 자강도 3월5일청년광산
5.2 양강도 신파청년광산
5.3 양강도 해산청년광산
5.4 양강도 운흥광산
5.5 양강도 8월광산
5.6 양강도 룡암광산
5.7 양강도 갑산광산
5.8 함경남도 허천청년광산
5.9 함경남도 상농광산연합기업소
5.10 함경북도 강안광산]
5.11 북한 동 광산 현황 요약
6 광해로 인한 대동강 수질오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